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성인용 애도 척도 (Mourning Scale for Adults)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6. 29.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성인용 애도 척도는 성인을 대상으로 애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애도란 사람이 살아가면서 관계를 맺었던 의미 있는 대상을 사별로 인해 상실을 경험하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슬픔, 우울, 비탄 등의 반응을 외부로 표현하는 상태, 의식 또는 관습으로 이를 통해 개인의 새로운 환경 적응과 개인내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작업을 의미
  • 성인용 애도 척도는 총 31문항,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

 

    1. 상실의 고통 (12문항)

    • 1, 2, 3, 4, 5, 6, 7, 8, 9, 10, 11, 12번 문항

 

    2. 삶의 회복과 성장 (10문항)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번 문항

 

    3. 상실의 충격과 혼란 (9문항)

    • 23, 24, 25, 26, 27, 28, 29, 30, 31번 문항
  •  
  • 본 척도는 황정윤 외(2014) 개발
  • 신뢰도(chonbach α) : 0.919 / 타당도 : 구성 타당도, 공인 타당도

 

적용 대상

  • 성인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아니다 ~ 5점 : 매우 많이 그렇다)

 

해석방법

  • 문항 평균이 높을수록 현재 자신이 머무르고 있는 애도 수준이 높다고 해석

 

참고문헌

  • 황정윤, 김미옥, 천성문(2014). 성인용 애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재활심리연구, 21(3), 537-560.

 

유사 척도

 

1. 한국판 지속유대 척도 : 사별경험 성인 대상

-  김계양, 박종원, 김완석(2016). 한국판 지속 유대 척도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2), 263-283.

 

2. 노년기 사별 후 성장 척도 : 노인 대상

-  장수지(2015). 노년기 사별 후 성장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복지학, 67(2), 61-84.

 

척도

 

 

성인용 애도 척도.png
0.22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