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한국형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척도 (K-IADL: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6. 28.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한국형 수단형 일상생활수행능력 척도기능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수단형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이란 개인의 주거 공간 내에서 간단한 가사일 수행과 전화 걸기, 교통수단을 이용한 외출, 생활용품 구입 등 자신의 신변관리와 더불어 일상생활의 간단한 목적달성을 위한 행동까지 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
  • 한국형 수단형 일상생활수행능력 척도는 총 10문항으로 구성
  • 본 척도는 Lawton & Brody(1969)가 개발한 척도를 원장원(2002)이 번안, 박선애(2016)의 연구에서 활용
  • 신뢰도(chonbach α) : 0.996 / 타당도 : 수렴 타당도

 

적용 대상

  • 노인

 

측정방법

  • 1, 2, 3, 4, 5, 8, 10번: 3점 리커트 척도(1점 완전자립, 2점 부분의존, 3점 완전의존)
  • 6, 7, 9번: 4점 리커트 척도(1점 완전자립, 2점~3점 부분의존, 4점 완전의존)

 

해석방법

  • 문항 총점이 높을수록 의존성이 높다고 해석

 

참고문헌

  • 박선애(2016).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원장원(2002).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특징. 대한노인병학회지, 6(1), 1-10.
  • Lawton, M. P., & Brody, E. M. (1969).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9(3), 179-186.

 

유사 척도

1. 자기방임 척도 : 노인 대상

  • 박미진, 김진(2015). 지역사회거주 노인을 위한 자기방임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지역사회활동 참여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69, 99-121.

척도

 

 

한국형 수단형 일상생활 수행능력 척도.png
0.27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