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가족 적응성 및 응집성 평가 척도는 가족 기능의 두 가지 주요 차원, 적응성(Adaptability)과 응집성(Cohesion)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적응성’이란, 상황적으로 또는 발달 단계상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해 가족의 권력구조, 역할관계, 관계규칙을 변화시키는 능력, ‘응집성’은 가족구성원이 서로에게 느끼는 정서적 유대감을 의미
- 가족 적응성 및 응집성 평가 척도는 총 20문항,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
1. 적응성 (10문항)
-
- 2, 4, 6, 8, 10, 12, 14, 16, 18, 20번 문
2. 응집성 (10문항)
-
- 1, 3, 5, 7, 9, 11, 13, 15, 17, 19번 문항
- 본 척도의 경우, Olson et al. (1985)이 개발, 한상분(1992)이 번안한 척도를 남희수(2009)가 사용
- 신뢰도(chonbach α) : 0.80(적응성), 0.83(응집성) / 타당도 : -
적용 대상
-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측정 (1점: 거의 아니다 ~ 5점: 항상 그렇다)
해석방법
- 홀수문항의 총점이 높을수록 가족 응집성이 높고, 짝수문항의 총점이 높을수록 가족 적응성이 높음
참고문헌
- 남희수(200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모자보호시설을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상분(1992).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피요인에 관한 연구아동의 자아개념과 가족체계의 기능유형, Circumplex Model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Olson, D. H., Portner, J., & Lavee, Y. (1985). “Faces III”: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s, Family Social Science. St. Paul: University of Minnesota.
유사 척도
1. 알코올중독자 가족 대상
- 이창원(2015).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영속적 위기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결혼이주여성 대상
- 김인아(2015).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사회복지사 대상
- 이은주(2013). 노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일중독(workaholism)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승인동기와 가족결속·적응력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발달장애인 가족 대상
- 김화신(2015). 발달장애인 주 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척도
반응형
LIST
'검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자원 척도 (FIRM: The Family Inventory of Resources for Management) (0) | 2024.07.04 |
---|---|
가족 사정 척도 (FAD: Family Assessment Device) (0) | 2024.07.03 |
가족의사소통 척도 (FCS-K: Family Communication Scale) (0) | 2024.07.01 |
성인용 애도 척도 (Mourning Scale for Adults) (0) | 2024.06.29 |
한국형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척도 (K-IADL: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