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한국판 청소년 도박 중독 진단 척도는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한 후 청소년의 도박 중독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것
- 한국판 청소년 도박중독 진단 척도는 총 12문항, 1개 요인으로 구성, 각 문항은 다음과 같은 범주를 측정
1. 집착
-
- 1번 문항
2. 조절 실패
-
- 2번 문항
3. 회피/도피/탈출
-
- 3번 문항
4. 거짓말
-
- 4번 문항
5. 위법행위
-
- 5, 6, 7번 문항
6. 직업/교육/대인관계의 위태로움
-
- 8, 9번 문항
7. 금단
-
- 10번 문항
8. 손실 추적
-
- 11번 문항
9. 내성
-
- 12번 문항
- 본 척도는 Fisher(2000)가 개발한 청소년 도박중독 진단 척도(DSM-Ⅳ-Multiple Response-Juvenile)를 김예나 외(2016)이 번안하고 검증
- 신뢰도(chonbach α) : 0.727~0.791 / 타당도 : 준거 타당도
적용 대상
- 청소년
측정방법
- 아래 순서대로 측정 (문항별로 다음과 같이 채점)
- 1, 2번 문항
0점: 없다, 한두 번 있다, 때때로 있다
1점: 자주 있다
- 3, 10번 문항
0점: 없다, 한두 번 있다
1점: 때때로 있다, 자주 있다
- 4, 5, 6, 7, 8, 9번 문항
0점: 없다
1점: 한두 번 있다 , 때때로 있다, 자주 있다
- 11번 문항
0점: 없다, 절반 이하 그랬다
1점: 절반 이상 그랬다 , 매번 그랬다
- 12번 문항
0점: 아니오
1점: 예
- 5, 6, 7번 문항 점수를 합해서 합이 0이면 0점, 1~3점이면 1점으로 채점
- 8, 9번 문항 점수를 합해서 합이 0이면 0점, 1~2점이면 1점으로 채점
해석방법
- 측정방법에 따른 점수를 계산하고 아래와 같이 해석
- 0점: 비문제성 도박 상태
- 1~3점: 위험성 도박 상태
- 4점 이상: 문제성 도박 상태
참고문헌
- 김예나, 권선중, 김원식(2016). 한국판 청소년 도박중독 진단 척도(K-DSM-Ⅳ MR-J)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4), 751-772.
- Fisher, S. E. (2000). Developing the DSM-Ⅳ-MR-J criteria to identify adolescent problem gambling in non-clinical population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6(2-3), 253-273.
유사 척도
- 성인 도박 중독 진단 척도: 김아영, 차정은, 권선중, 이순묵(2011). CPGI의 한국판 제 작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011-1038.
척도
반응형
LIST
'검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해결능력 척도 (PSI: Personal Problem Solving Inventory) (1) | 2024.06.12 |
---|---|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 (0) | 2024.06.10 |
음주심각성 척도 (Family CAGE) (0) | 2024.06.08 |
신체건강행동 측정 척도 (Physical Health Behavior Scale) (0) | 2024.06.07 |
한국형 일반정신건강 척도(KGHQ-30: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30) (2) | 2024.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