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음주심각성 척도는 가족구성원의 알코올 중독의 심각성을 선별하기 위한 것
- 음주심각성 척도는 총 4문항으로 구성
- 본 척도는 배우자의 음주문제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Frank et al., 1987)를 류지수(2012)가 사용, 이를 이창원(2015)이 가족 수준에서 음주자의 음주 문제를 선별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사용
- 신뢰도(cronbach α): 0.633 / 타당도: -
적용 대상
- 가족구성원이 음주로 인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성인 (가족구성원이 음주로 인한 문제를 가진 아동, 청소년도 가능)
측정방법
- 3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3점: 자주 그렇다)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구성원의 음주 문제가 심각하다고 해석
참고문헌
- 류지수(2012). 알코올의존자의 음주 관련 변인 및 도움요청행동의 성별차이. (재)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연구보고서. 2011-4.
- 이창원(2015).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영속적 위기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Frank, S. H., Graham, A. V., Zyzanski, S. J., & White, S. (1992). Use of the Family CAGE in screening for alcohol problems in primary care. Archives of Family Medicine, 1(2), 209-216.
유사 척도
- 성인 알코올 의존 자가검진 척도(AUDIT-K) : 전주성(2017). 도박장애와 알코올 사용 장애의 공존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마장 이용객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성인 알코올 의존자들의 회복동기 척도(SOCRATES-K) : 최은정(2014). 알코올 중독자의 우울과 회복동기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A.A. 몰입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척도
반응형
LIST
'검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 (0) | 2024.06.10 |
---|---|
한국판 청소년 도박 중독 진단 척도 (K-DSM-Ⅳ-MR-J) (0) | 2024.06.09 |
신체건강행동 측정 척도 (Physical Health Behavior Scale) (0) | 2024.06.07 |
한국형 일반정신건강 척도(KGHQ-30: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30) (2) | 2024.06.06 |
청소년 자살 생각 척도 (0) | 2024.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