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신체건강행동 측정 척도 (Physical Health Behavior Scale)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6. 7.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신체건강행동 측정 척도는 사회 복지 실천 현장에서 보편적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클라이언트의 일상생활에서의 신체 건강 행동을 측정하기 위한 것
  • 객관적 조건에서 노인 개개인이 가지는 사회활동과 참여를 통하여 얻게 되는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 만족감을 측정하기 위함
  • 신체건강행동 측정 척도 총 40문항, 증진행동척도, 저해행동척도 2개 하위 개념으로 구성, 2개 하위개념은 7개 요인과 5개 요인으로 구별

 

    1. 증진행동척도 (21문항): 7개 요인

    • 질병관리(3문항): 1, 2, 3번 문항
    • 구강관리(3문항): 4, 5, 6번 문항
    • 신체활동(4문항): 7, 8, 9, 10번 문항
    • 위생관리(4문항): 11, 12, 13, 14번 문항
    • 건강음식섭취(3문항): 15, 16, 17번 문항
    • 수면관리(2문항): 18, 19번 문항
    • 식습관(2문항): 20, 21번 문항

 

    2. 저해행동척도 (19문항): 5개 요인

    • 흡연(2문항): 22, 23번 문항
    • 저해음식섭취(6문항): 24, 25, 26, 27, 28, 29번 문항
    • 음주(3문항): 30, 31, 32번 문항
    • IT기기사용(6문항): 33, 34, 35, 36, 37, 38번 문항
    • 저해식습관(2문항): 39, 40번 문항

 

  • 본 척도의 경우, 양옥경, 김학령(2015)이 개발
  • 신뢰도(chonbach α) : 0.86 / 타당도 : 수렴, 판별, 동시타당도

 

적용 대상

  • 사회 복지 실천 현장에서 보편적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클라이언트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아니다 ~ 5점 : 매우 그렇다)
  • 역문항 : 저해행동척도 19개 문항 전체 (22~40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1점 5점
2점 4점
3점 3점
4점 2점
5점 1점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신체건강행동이 높은 것으로 해석

 

참고문헌

  • 양옥경, 김학령(2015). 신체건강행동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7(3), 151-180.

 

척도

 

 

신체건강행동 측정 척도.png
0.28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