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5. 24.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삶의 만족도 척도의식주와 같은 기본적인 영역부터 삶의 철학에 이르는 추상적인 영역까지 10개 영역에 걸쳐 삶의 만족을 포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것
  • 삶의 만족도 척도는 전체 33문항, 10개의 하위 개념으로 구성

 

    1. 의식주 영역 (5문항)

    • 1, 2, 3, 4, 5번 문항

 

    2. 친구관계 영역 (4문항)

    • 6, 7, 8, 9번 문항

 

    3. 가족 및 친척 관계 영역 (3문항)

    • 10, 11, 12번 문항

 

    4. 신체 및 정신건강 영역 (5문항)

    • 13, 14, 15, 16, 17번 문항

 

    5. 일(직업) 영역 (2문항)

    • 18, 19번 문항

 

    6. 경제 영역 (2문항)

    • 20, 21번 문항


    7. 대인관계 영역 (2문항)

    • 22, 23번 문항


    8. 사회생활 및 여가활동 영역 (4문항)

    • 24, 25, 26, 27번 문항


    9. 행복감 영역 (3문항)

    • 28, 29, 30번 문항


    10. 자율성 및 자아감 영역 (3문항)

    • 31, 32, 33번 문항

 

  • 본 척도의 경우, 양옥경(1994)이 개발 및 소개
  • 신뢰도(chonbach α) : 1차 검사: 0.914, 2차 검사: 0.932, 검사-재검사간 상관계수 0.956
  • 타당도 : 개념타당도, 구성체타당도

 

적용 대상

  • 성인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거의 혹은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 거의 혹은 항상 그렇다)
  • 역문항 : 14, 15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1점 5점
2점 4점
3점 3점
4점 2점
5점 1점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 가능

 

참고문헌

  • 양옥경(1994). 삶의 만족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24, 157-198.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png
0.25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