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자아통합감 척도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5. 21.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자아통합감 척도노인들이 느끼는 자아통합감을 측정하기 위한 것
  • 자아통합감 척도는 전체 31문항, 6개의 하위 개념으로 구성

 

    1. 현재 생활에 대한 만족 (8문항)

    • 1, 2, 5, 18, 22, 26, 30, 31번 문항

 

    2. 지혜로운 삶 (7문항)

    • 4, 8, 10, 15, 21, 25, 28번 문항

 

    3. 삶에 대한 태도 (6문항)

    • 9, 11, 13, 16, 23, 29번 문항

 

    4. 지나온 일생에 대한 수용 (3문항)

    • 19, 20, 24번 문항

 

    5. 노령에 대한 수용 (4문항)

    • 3, 6, 14, 17번 문항

 

    6. 죽음에 대한 수용 (3문항)

    • 7, 12, 27번 문항

 

  • 본 척도의 경우, 김정순(1988) 개발, 박형규(2009) 척도 활용, 정남기(2016) 사용
  • 신뢰도(chonbach α) : 0.093 / 타당도 : -

 

적용 대상

  • 노인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 매우 그렇다)
  • 역문항 : 2, 4, 9, 11, 12, 13, 16, 17, 21, 22, 23, 25, 26, 27, 29, 30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1점 5점
2점 4점
3점 3점
4점 2점
5점 1점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통합감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 가능

 

참고문헌

  • 김정순(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형규(2009).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임종교육서비스, 사회적 지지, 자아통합감에 따른 태도 분석.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남기(2016). 사진을 활용한 회상 집단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척도

 

자아통합감 척도.png
0.20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