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 (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5. 26.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 노인이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를 측정하는 척도
  • 객관적 조건에서 노인 개개인이 가지는 사회활동과 참여를 통하여 얻게 되는 경제적, 사회적, 심리적으로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 만족감을 측정하기 위함
  •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는 전체 20문항, 3개의 하위 개념으로 구성

 

    1. 과거차원 (6문항)

    • 1, 2, 3, 4, 5, 6번 문항

 

    2. 현재차원 (8문항)

    • 7, 8, 9, 10, 11, 12, 13, 14번 문항

 

    3. 미래차원 (6문항)

    • 15, 16, 17, 18, 19, 20번 문항

 

  • 본 척도의 경우, 최성재(1986)이 개발한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를 최혜지, 이영분(2006)이 검증, 강은경(2013)이 연구에서 활용
  • 신뢰도(chonbach α) : 0.858 / 타당도 : -

 

적용 대상

  • 노인

 

측정방법

  • 3점 리커트 척도 (0점: 그렇지 않다 ~ 2점 : 그렇다)
  • 역문항 : 4, 5, 6, 11, 12, 13, 14, 18, 19, 20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0점 2점
1점 1점
2점 0점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지나온 인생과 현재 및 미래의 생활에 만족하는 것으로 해석

 

참고문헌

  • 강은경(2013). 노인의 감정조절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연구.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성재(1986). 노인의 생활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연구논총, 49, 233-258.
  • 최혜지, 이영분(2006). 구조적 차원성 탐색을 통한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의 재발견: 최성재의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8(3), 27-49.

 

척도

 

 

노인 생활만족도 척도.png
0.12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