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는 자기통제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자기통제력이란 순간의 만족과 충동을 조절하거나 분별력과 조심성이 있는지 등을 의미
-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는 총 11문항으로 구성
- Tangney et al. (2004)이 개발, 홍현기 외(2012)가 번안, 이동은(2016)의 연구에서 활용
- 신뢰도(chonbach α) : 0.859 / 타당도 : 수렴 타당도
적용 대상
- 대학생, 청소년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아니다 ~ 5점 : 매우 많이 그다)
- 역문항 : 1, 3, 4, 5, 6, 7, 8, 10, 11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 ||
1점 | → | 5점 |
2점 | → | 4점 |
3점 | → | 3점 |
4점 | → | 2점 |
5점 | → | 1점 |
해석방법
- 문항 총점이 높을수록 자기통제 수준이 높다고 해석
참고문헌
- 이동은(2016). 비행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 램 개입 효과: 소년원 청소년의 부모-자녀교육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홍현기, 김희송, 김진하, 김종한(2012).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BSCS)의 타당 화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31(4), 1193-1210.
-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 (2004).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 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유사 척도
1. 자기통제 척도 : 청소년 대상
- 서혜석(2006).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자기통제 척도 : 정신장애인 대상
- 황정우(2011). 정신장애인의 행복감 영향요인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척도
반응형
LIST
'검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불안 척도 (LSAS: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0) | 2024.06.24 |
---|---|
자기조절 척도 (SCRS: Self-Control Rating Scale) (0) | 2024.06.23 |
충동적 공격성 척도 (AQ: Aggression Questionnaire) (0) | 2024.06.21 |
학교생활 적응 척도 (School Adjustment Scale) (0) | 2024.06.19 |
학교 적응 유연성 척도 (SRS: The School Resilience Scale) (0) | 202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