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자기조절 척도는 자기조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자기조절이란 불만족스러운 현실을 벗어나는 것을 목적으로 사고와 행동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개인의 능력을 의미
- 자기조절 척도는 총 20문항,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
1. 자기평가 (10문항)
-
- 2, 3, 6, 7, 8, 9, 11, 13, 17, 19번 문항
2. 자기반응 (5문항)
-
- 1, 4, 5, 12, 18번 문항
3. 자기관찰 (5문항)
-
- 10, 14, 15, 16, 20번 문항
- 본 척도는 Kendall & Wilcox(1979)가 개발한 원척도 33문항 중 김보람(2012)이 20문항을 선별하여 번안 및 수정
- 신뢰도(chonbach α) : 0.906 / 타당도 : 변별 타당도
적용 대상
- 성인, 대학생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 매우 그렇다)
- 역문항 : 2, 3, 6, 7, 8, 9, 11, 13, 17, 19, 20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 ||
1점 | → | 5점 |
2점 | → | 4점 |
3점 | → | 3점 |
4점 | → | 2점 |
5점 | → | 1점 |
해석방법
- 문항 총점이 높을수록 자기통제 수준이 높다고 해석
참고문헌
- 김보람(2012). 이용 동기와 효능감에 따른 인터넷 게임몰입과 병리적 사용 - 자기조절 매개변인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성범(2012). 대학생의 도박중독 요인에 관한 연구 - 자기조절 상식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Kendall, P. C. & Wilcox, L. E.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 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척도
반응형
LIST
'검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형 일상생활 수행능력 척도 (K-ADL: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0) | 2024.06.26 |
---|---|
사회불안 척도 (LSAS: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0) | 2024.06.24 |
한국판 단축형 자기통제 척도 (BSCS: The Brief Self-Control Scale) (0) | 2024.06.22 |
충동적 공격성 척도 (AQ: Aggression Questionnaire) (0) | 2024.06.21 |
학교생활 적응 척도 (School Adjustment Scale) (0)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