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적응 유연성 척도 (SRS: The School Resilience Scale)
척도 소개학교적응유연성 척도는 학교적응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학교적응유연성이란 학업성취 정도가 높고, 또래와 잘 어울리며, 학교활동에서 긍정적인 행동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학교적응유연성 척도는 총 22문항,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 1. 학교에 대한 흥미 (7문항) 1, 2, 3, 4, 5, 6, 7번 문항 2. 성적이나 학업 관련 (5문항) 8, 9, 10, 11, 12번 문항 3. 학교규범 관련 사항 (10문항)13, 14, 15, 16, 17, 18, 19, 20, 21, 22번 문항 본 척도는 박현선(1998)이 개발, 이상준(2015)의 연구에서 활용신뢰도(chonbach α) : 0.83 / 타당도 : - 적용 대상아동, 청소년 측정방법4점 리커트 척도 (1점..
2024.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