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정보

2024년 청년내일저축계좌 마감 임박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5. 15.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블로그 주인장입니다!

2024년에도 찾아온 청년내일저축계좌 상품이 생겨 포스팅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 본인 저축액 (10만 원~50만 원) + 정부 지원금으로 자산 형성을 할 수 있는 계좌
  • 기준 소득에 따라 정부 지원금 매칭 성사
  • 3년간 유지하며 근로활동을 지속하고 해당 온라인 교육과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 본인 저축액 (월 10만원) 대비 1:1 정부매칭 지원
  • 수급자, 차상위자 청년의 경우, 1:3 정부매칭 지원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상단의 내용과 같습니다! 그럼 계좌를 만들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일까요?

 

  1. 나이 조건 :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수급자, 차상위자는 만 15세 이상 ~ 39세 이하)
  2. 본인 소득 : 월 50만원 초과 ~ 월 230만 원 이하 (수급자, 차상위자는 10만원 이상)
  3. 가구 소득 :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1인 가구 기준 월 223만원 / 수급자, 차상위자는 중위소득 50% 이하)

* 재산 기준 : 대도시 3.5억, 중소도시 2억, 농어촌 1.7억

 

 

먼저 본인의 소득이 상단에 명시된 것과 같이 월 50만 원 초과 ~ 월 220만 원 이하의 범위에 들어가는지 확인한 후, 신청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가구소득 또한 마찬가지로 기준중위소득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이 얼마인지 확인한 후, 범위 안에 해당하는지 검토 후 신청 권장드립니다! 

 

그럼 청년내일저축계좌의 지원 금액은 정확히 얼마일까요?

 

  • 차상위 이하 매월 30만원 (3년간 최대 지원 금액 1,440만 원)
  • 차상위 초과 매월 10만 원 (3년간 최대 지원 금액 720만 원)
  • 매월 최소 10만 원 ~ 최대 50만 원 저축 가능

* 월 10만 원 3년 만기 시, 760만 or 1440만 + @(이자)

 

 

근데 만기 조건이 있습니다. 만기 조건은 3가지인데요. 하단의 조건들을 충족하여야 만기가 가능합니다.

 

  1. 근로활동 지속
  2. 교육 이수(10시간)
  3.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위와 같은 조건은 만기 기간의 6달 전부터 준비하면 되오니, 신청할 때에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부분입니다. 그럼 제일 중요한 신청 기간 및 신청 방법은 무엇일까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 & 방법

 

  • 신청 기간 : 2024.05.01 ~ 2024.05.21
  • 신청 방법 : 오프라인(주민센터 방문), 온라인(복지로 홈페이지)
  • 전화번호 : 129 (보건복지상담센터), 1522-3690 (자산형 지원콜센터)

* 주의사항 : 임신, 출산, 육아, 군입대의 경우 2년까지 적립 중지 가능

 

직장인이신 분들은 평일에 근무하시느라 주민센터에 방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하는 것이 제일 편할 수도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 링크는 하단에 첨부했습니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

 

그럼 직장인 기준으로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하단의 링크를 들어가 주세요.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0060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0060

 

www.bokjiro.go.kr

 

하단의 이미지에 나타난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상단의 링크를 통한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화면

 

 

눌러주시면 복지급여서비스 대상(임신출산, 영유아 등)에 따른 서비스가 나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저소득층 대상에서 자산형성지원(청년내일저축계좌)에 신청하기를 체크한 후, 스크롤을 맨 밑으로 내려 '저장 후 다음단계'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그럼 개인정보 동의에 체크하고, 현재 갖고 있는 재산(전월세 보증금, 자동차 등)에 해당하는 것들을 작성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서류를 제출하라는 단계가 나오는데, 제 기준으로 제출한 서류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현재 월세 거주 중인 직장인입니다. 그래서 가족관계증명서, 재직증명서, 전월세 임대차 계약서 사본, 경력증명서 총 4부를 제출했습니다! 가족관계증명서 발급할 수 있는 링크는 하단에 첨부하였습니다! 재직증명서는 현재 근로를 하고 있는 회사 혹은 기관에서 발급받으시면 되고, 전월세 임대차 계약서의 경우, 전월세를 계약한 부동산에 연락하여 사본을 받으시거나, 혹은 갖고 계신 계약서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제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경력 증명서의 경우, 전 근무지에서 발급받으시면 되겠습니다.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링크

https://efamily.scourt.go.kr/pt/PtFrrpApplrInfoInqW.do?menuFg=02

 

증명서발급 | 가족관계등록부 | 가족관계증명서 | 가족관계등록부 신청인 정보 조회

가족관계등록부 신청인 정보 조회 이용안내 미리 확인해 주세요! 1. 신청인의 본인확인을 위해 인증서(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간편인증)가 필요합니다. 인증서 안내 2. [테스트 증명서 출력]을

efamily.scourt.go.kr

 

만약 경력증명서가 발급이 안 되는 상황이라면, 고용임금확인서 혹은 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를 발급받으시거나, 근로활동 및 소득신고서 + 급여이체 내역서를 직접 발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고용임금확인서 혹은 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 발급 링크는 하단과 같습니다. 

 

https://total.comwel.or.kr/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total.comwel.or.kr

 

소득신고서 + 급여이체 내역서는 정해진 기준 양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마음에 드는 양식을 찾은 후 작성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