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한국판 사회적 유능성 척도는 대인관계적인 측면에서의 사회적 유능성에 초점을 맞추어서 작성된 척도
- 사회적 유능성이란 개인이 환경적 상황 하에서 사회적으로 효과적인 반응방법을 사용하는 능력을 의미
- 한국판 사회적 유능성 척도는 총 40문항, 5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 하위요인들은 개별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
1. 상호관계의 개시 (8문항)
-
- 1, 6, 11, 16, 21, 26, 32, 36번 문항
2. 자기개방 (8문항)
-
- 3, 8, 13, 18, 23, 28, 33, 38번 문항
3. 권리나 불편함에 대한 주장 (8문항)
-
- 2, 7, 12, 17, 22, 27, 32, 37번 문항
4. 정서적 지지 (8문항)
-
- 4, 9, 14, 19, 24, 29, 34, 39번 문항
5. 갈등 관리 (8문항)
-
- 5, 10, 15, 20, 25, 30, 35, 40번 문항
- 본 척도는 Buhrmester et al. (1988)이 개발한 척도를 한나리, 이동귀(2010)가 번안, 조성희(2009)의 연구에서 활용
- 신뢰도(chonbach α) : 0.83 / 타당도 : 수렴 타당도, 공존 타당도, 변별 타당도
적용 대상
- 청소년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매우 그렇다)
해석방법
- 문항 총합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
참고문헌
- 조성희(2009). 이혼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한나리, 이동귀(2010). 한국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1), 137-156.
- Buhrmester, D., Furman, W., Wittenberg, M., & Reis, H. (1988). Five domain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peer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6), 991-1008.
유사 척도
- 사회기술평가 척도 : 아동청소년 대상 - 이상준(2006).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탄력성과 보호요인.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역량 척도 : 지체장애여성 대상 - 임은자(2011). 지체장애여성 자녀의 사회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척도
반응형
LIST
'검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 적응 유연성 척도 (SRS: The School Resilience Scale) (0) | 2024.06.17 |
---|---|
청소년용 탄력성 척도 (Resilience Scale for Youth) (0) | 2024.06.16 |
사회적 책임감 척도 (SRS: Social Responsibility Scale) (1) | 2024.06.14 |
사회성 척도 (Sociality Scale) (1) | 2024.06.13 |
문제해결능력 척도 (PSI: Personal Problem Solving Inventory) (1) | 2024.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