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사회적 책임감 척도 (SRS: Social Responsibility Scale)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6. 14.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사회적 책임감 척도사회적 책임감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사회적 책임감이란 더불어 사는 사회 형성을 위한 참여로서, 곤경에 처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와야 한다는 개념
  • 사회적 책임감 척도는 총 10문항
  • 본 척도의 경우, Harris(1957)와 Berkowitz & Lutterman(1968)이 만든 척도를 조학래(1996)가 번안, 이후 김영진(2009)의 연구에서 활용
  • 신뢰도(chonbach α) : 0.709 / 타당도 : -

 

적용 대상

  • 청소년

 

측정방법

  • 4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4점 : 매우 그렇다)
  • 역문항 : 1, 2, 4, 6, 9, 10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1점 5점
2점 4점
3점 3점
4점 2점

 

 

해석방법

  • 문항들의 총합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책임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

 

참고문헌

  • 김영진(2009).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이 개인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학래(1996).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Berkowitz, L., & Lutterman, K. G. (1968). The traditional socially responsi ble personality.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32(2), 169-185.
  • Harris, D. B. (1957). A scale for measuring attitudes of social responsibility in children.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5(3). 322-326.

 

척도

 

 

사회적 책임감 척도.png
0.10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