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모음

한국판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 (PSCQ-KA: Parents as Social Context Questionnaire)

플레이보이카티 2024. 7. 14. 00:10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한국판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 척도는 청소년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
  • 한국판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 척도 총 24문항, 6개의 하위요인(따스함, 거부, 자율성 지지, 강요, 구조 제공, 비일관)으로 구성

 

    1. 따스함 (4문항)

    • 1, 2, 3, 4번 문항

 

    2. 거부 (4문항)

    • 5, 6, 7, 8번 문항

 

    3. 자율성 지지 (4문항)

    • 9, 10, 11, 12번 문항

 

    4. 강요 (4문항)

    • 13, 14, 15, 16번 문항

 

    5. 구조 제공 (4문항)

    • 17, 18, 19, 20번 문항

 

    6. 비일관성 (4문항)

    • 21, 22, 23, 24번 문항

 

  • 본 척도는 Skinner et al. (2005)가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A) 개발, 김태명, 이은주(2017)가 한국판 척도로 타당화
  • 신뢰도(chonbach α) : 0.752 ~ 0.882 / 타당도 : 구성 타당도, 준거 타당도

 

적용 대상

  • 중학생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매우 그렇다)

 

해석방법

  • 따스함, 자율지지, 구조제공의 요인에서는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해석
  • 거부, 강요, 비일관성의 요인에서는 점수가 높을수록 부정적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해석

 

참고문헌

  • 김태명, 이은주(2017).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청소년학연구, 24(3), 313-333.
  • Skinner, E., Johnson, S., & Snyder, T. (2005). Six dimensions of parenting: a motivational model.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5(2), 175-235.

 

 

 

한국판 청소년용 부모양육태도.png
0.17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