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모음
사회적 안녕감 척도 (Social Well-being Scale)
플레이보이카티
2025. 4. 29. 12:25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사회적 안녕감 척도는 타인을 인정하는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며 공동체의 일부분이라고 느끼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사회적 안녕감 척도는 총 12문항, 4개 하위영역으로 구성
1. 사회적 일관성 (3문항)
-
- 1~3번 문항
2. 사회적 통합 (3문항)
-
- 4~6번 문항
3. 사회적 기여 (3문항)
-
- 7~9번 문항
4. 사회적 실현 (3문항)
-
- 10~12번 문항
- 본 척도는 Keyes(1998)가 개발, 향후 Shapiro & Keyes(2008)가 현대사회에 맞게 재구성, 이를 김은아(2016)가 번안하여 사용
- 신뢰도(chonbach α) : 0.709~0.868 / 타당도 : -
적용 대상
- 지역주민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매우 그렇다)
- 역문항 : 1, 2, 4, 8, 9, 11, 12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 ||
1점 | → | 5점 |
2점 | → | 4점 |
3점 | → | 3점 |
4점 | → | 2점 |
5점 | → | 1점 |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안녕감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
참고문헌
- 김은아(2016). 마을만들기 참여가 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Keyes, C. L. M., (1998).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1(2), 121-140.
- Shapiro, A., & Keyes, C. L. M., (2008). Marital status and social well-be ing: Are the married always better off?. Social Indicators Research, 88(2), 329-346.
척도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