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모음
사회적지지 척도 (박지원, 1985)
플레이보이카티
2024. 7. 23. 23:16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사회적지지 척도는 한 개인이 가족, 친척, 친구 및 이웃 사람들로부터 받고 있다고 스스로 느끼는 도움의 정도(비공식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사회적지지 척도는 총 25문항, 4가지 하위 영으로 구성
1. 정서적 지지 (7문항)
-
- 1, 2, 3, 4, 5, 6, 7번 문항
2. 평가적 지지 (6문항)
-
- 8, 9, 10, 11, 12, 13번 문항
3. 정보적 지지 (6문항)
-
- 14, 15, 16, 17, 18, 19번 문항
4. 물질적 지지 (6문항)
-
- 20, 21, 22, 23, 24, 25번 문항
- 본 척도는 Caplan(1974), Cobb(1976), House(1981)에 의해 단계적으로 개발, 이를 기반으로 박지원(1985)이 개발, 강호성(2012)이 사용
- 신뢰도(chonbach α) : 0.9339 / 타당도 : -
적용 대상
- 모든 대상층 사용 가능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범죄자 대상으로 진행)
측정방법
- 4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4점: 매우 그렇다)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고 해석
참고문헌
- 강호성(2012). 전자발찌 착용 성폭력 범죄자의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Caplan, G. (1974). Support System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Lectures on concept development. NY: Behavioral Publications.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 House, J.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CA: Addison Wesley Publishing Co.
유사 척도
1. 북한이탈주민 대상
- 박은숙(2014). 북한이탈주민의 직장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조손가정조부 대상
- 이미영(2008). 조손가정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결혼이주여성 대상
- 이순자(2014).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 관계성 연구 : 부부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조절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노인 대상
- 박형규(2009).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임종교육 서비스 사회적지지 자아통합감에 따른 태도 분석.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미혼 대상
- 이현주(2012). 미혼모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형 검증 및 아기 장래 결정에 따른 집단 간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척도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