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모음

부양 부담 척도 (Caregiver Burden Inventory)

플레이보이카티 2024. 7. 22. 23:38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부양부담 척도주부양자가 노인을 부양하면서 경험하는 부정적 영향으로서의 주관적 부양부담(caregiving burden)을 측정하는 척도
  • 부양부담 척도는 총 12문항, 4가지 하위 개념으로 구성

 

    1. 신체적 부담 (3문항)

    • 1, 2, 3번 문항

 

    2. 정서적 부담 (3문항)

    • 7, 8, 9번 문항

 

    3. 경제적 부담 (3문항)

    • 10, 11, 12번 문항

 

  4. 사회활동 부담 (3문항)

    • 4, 5, 6번 문항

 

  • 본 척도는 Novak & Guest(1989), Stommel et al. (1990), 권중돈(1994)이 개발, 이혜자(2006)가 재구성 사용, 송인욱(2009)이 연구에서 활용
  • 신뢰도(chonbach α) : 0.942 / 타당도 : 확인적 요인분석 실시

 

적용 대상

  • 노인 부양자

 

측정방법

  • 4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4점: 매우 그렇다)

 

해석방법

  • 총점수가 높을수록 부양부담 수준이 높다고 해석

 

참고문헌

  • 권중돈(1994). 한국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사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송인욱(2009). 주부양자의 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혜자(2006).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이용여부가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6(2), 329-346.
  • Novak, M. & Guest, C. (1989). Application of a multidiment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29, 798-803.
  • Stommel, M., Collins, C. E., & Given, B. A. (1990). Depression as in overriding variable explaining caregiver burden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 81-102.

 

 

 

부양 부담 척도.png
0.10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