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모음

부모·동료 애착 척도 (IPPA-R: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플레이보이카티 2024. 7. 18. 00:10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부모·동료 애착 척도부모 및 또래 애착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애착이란 한 개인의 전반적인 애착상태를 일컫는 용어
  • 안정 애착 : 애착대상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낄 때
  • 불안정 애착 : 강렬한 애정과 의존성, 거절에 대한 두려움, 과민성, 경계 등의 혼합된 감정을 느낄 때
  • 부모·동료 애착 척도는 총 25문항, 3가지 하위척도 구성

 

    1. 신뢰 (10문항)

    • 1, 2, 3, 4, 9, 12, 13, 20, 21, 22번 문항

 

    2. 의사소통 (9문항)

    • 5, 6, 7, 14, 15, 16, 19, 24, 25번 문항

 

    3. 소외 (6문항)

    • 8, 10, 11, 17, 18, 23번 문항

 

  • 본 척도는 Armsden & Greenberg(1987)가 개발, 옥정(1998)이 번안
  • 신뢰도(chonbach α) : 0.87 ~ 0.89 / 타당도 : 구인 타당도

 

적용 대상

  • 청소년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매우 그렇다)
  • 역문항 : 3, 6, 8, 9, 11, 14, 17, 18, 23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1점 6점
2점 5점
3점 4점
4점 3점
5점 2점

 

 

해석방법

  • 하위차원별로 총점이 높을수록 신뢰 수준, 의사소통 수준이 높고, 소외 수준이 낮은 것을 의미
  • 모든 하위차원의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애착수준이 높다고 해석

 

참고문헌

  • 옥정(1998).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 지각된 유능감(Perceived Com-petence)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Armsden, G., & Greenberg, M.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27-454.

 

 

 

부모&동료애착 척도.png
0.19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