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모음
또래 관계 질 척도 (Peer Relationship Quality Scale)
플레이보이카티
2025. 5. 4. 12:00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또래 관계 질 척도는 또래간의 관계가 평등하고 호혜적이면서 가까운 관계인지와 대립 및 갈등이 낮은지 평가하는 척도
- 또래 관계 질 척도는 총 13문항, 2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
1. 긍정적 관계 (8문항)
-
- 1 ~ 8 번 문항
2. 부정적 관계 (5문항)
-
- 9 ~ 13 번 문항
- 본 척도는 Furman & Buhrmester(1985)의 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 (NRI), Parker & Asher(1993)의 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FQQ), 김진경, 유안진(2002)의 척도를 참고하여 배성만 외(2015)가 개발한 척도
- 신뢰도(chonbach α) : 0.925 / 타당도 : 내용 타당도 및 수렴과 준거 타당도
적용 대상
- 청소년
측정방법
- 4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4점: 매우 그렇다)
- 역문항 : 9, 10, 11, 12, 13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 ||
1점 | → | 4점 |
2점 | → | 3점 |
3점 | → | 2점 |
4점 | → | 1점 |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관계의 질이 높은 것으로 해석
참고문헌
- 김진경, 유안진(2002). 시설거주여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 기술과 또래관계 질. 아동학회지, 23(2), 121-135.
- 배성만, 홍지영, 현명호(2015). 청소년 또래관계 질 척도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학연구, 22(5), 324-344.
- Furman, W. & Buhrmester, D. (1985). Children’s perception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016-1024.
- Parker, J. G. & Asher, S. 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 611-621.
척도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