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모음
갈등 전술 척도 (CTS: Conflicts Tactics Scales)
플레이보이카티
2024. 7. 10. 00:10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갈등전술 척도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세 가지 유형의 전술(이성적 방법, 언어적 공격, 폭력)을 측정
- 갈등전술 척도의 항목들은 한 사람이 가족 구성원과의 갈등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행동들로 구성
- 갈등전술 척도는 총 19문항, 2개의 하위개념으로 구성
1. 정서폭력 (7문항)
-
- 1, 2, 3, 4, 5, 6, 7번 문항
2. 신체폭력 (12문항)
-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번 문항
- 본 척도는 Straus et al. (1996)이 개발, 이상준(2006)이 번안하여 사용
- 신뢰도(chonbach α) : 0.90 ~ 0.97 / 타당도 : 내용 타당도
적용 대상
- 학교 청소년 (원척도는 가족 구성에 따라 형제, 자매, 부부, 부모-자녀를 대상으로 적용 가능)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0점: 전혀 없다 ~ 4점: 일주일에 1번 이상)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 폭력 경험 수준이 심각하다고 해석
참고문헌
- 이상준(2006). 가정폭력 경험 청소년의 탄력성과 보호요인.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Straus, M. A., Hamby, S. H., Boney Mccoy, S., & Sugarman, D. B.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CTS2). Journal of Family Issues, 17(3), 283- 316.
유사 척도
1. 북한이탈주민 대상
- 김희진(2013).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과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biomedicosocial(BMS) perspective)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정순(2014). 북한이탈주민의 가정폭력 및 사회적 차별 경험이 심리·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청소년 대상
- 이근영(2013). 가정폭력 노출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공격성 감소를 위한 TSL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척도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