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모음

가족 사정 척도 (FAD: Family Assessment Device)

플레이보이카티 2024. 7. 3. 22:49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가족 사정 척도는 McMaster Model에 기반하여 가족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이 모델은 가족기능의 6가지 차원(문제해결, 의사소통, 역할, 정서적 반응성, 정서적 관여, 행동통제)을 확인하며, 가족사정 척도는 이와 더불어 일반적인 기능을 다루기 위한 척도가 추가
  • 가족 사정 척도는 총 60문항, 7개 하위척도 구성

 

    1. 문제해결 (6문항)

    • 2, 12, 24, 38, 50, 60번 문항

 

    2. 의사소통 (7문항)

    • 3, 14, 18, 29, 43, 52, 58번 문항

 

    3. 역할 (9문항)

    • 4, 10, 15, 23, 30, 34, 40, 45, 53번 문항

 

    4. 정서적 반응성 7문항)

    • 9, 19, 28, 35, 39, 49, 57번 문항

 

    5. 정서적 관여 (8문항)

    • 5, 13, 22, 25, 33, 37, 42, 54번 문항


    6. 행동통제 (10문항)

    • 7, 17, 20, 27, 32, 44, 47, 48, 55, 59번 문항


    7. 일반적 기능 (13문항)

    • 1, 6, 8, 11, 16, 21, 26, 31, 36, 41, 46, 51, 56번 문항

 

  • 본 척도의 경우, pstein et al. (1983)이 개발한 가족 사정 도구(Family Assessment De-vice)를 오승환(2001)이 활용
  • 신뢰도(chonbach α) : 0.94 / 타당도 : 내용 타당도

 

적용 대상

  • 결손가정 청소년

 

측정방법

  • 4점 리커트 척도 (1점: 매우 그렇다 ~ 4점 : 전혀 그렇지 않다)
  • 역문항 : 2, 3, 6, 10, 12, 16, 18, 20, 24, 26, 27, 29, 30. 32, 36, 37, 38, 40, 41, 43, 44, 46, 49, 50, 55, 56, 57, 58, 60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1점 5점
2점 4점
3점 3점
4점 2점

 

 

해석방법

  • 문항들의 총합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 기능이 좋다고 해석

 

참고문헌

  • 오승환(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Epstein, N. B., Baldwin, L. M., & Bishop, D. S. (1983). The McMaster family assessment devic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9(2), 171-180.

 

유사 척도

 

1. 중도입국 청소년 대상

  • 좌동훈(2013). 중도입국청소년의 사회문화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청소년 대상

  • 조성희(2011). 이혼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3. 다문화가족 아동 대상

  • 은선경(2010).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척도

 

 

가족 사정 척도.png
0.38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