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사회적지지 척도 (박현선, 1998)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7. 28.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사회적지지 척도 학업관련 사회적 지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
  • 사회적지지 척도는 총 7문항, 3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

 

    1. 가족 지지 (7문항)

    • 1~7번 문항

 

    2. 친구 지지 (7문항)

    • 1~7번 문항

 

    3. 교사 지지 (7문항)

    • 1~7번 문항

 

  • 본 척도는 Hernandez(1993)의 연구를 토대로 박현선(1998)이 재구성하여 타당화, 안윤정(2016)이 사용
  • 신뢰도(chonbach α) : 0.87 / 타당도 : -

 

적용 대상

  • 청소년

 

측정방법

  • 4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4점: 매우 그렇다)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대상별 지지 정도가 높다고 해석

 

참고문헌

  • 박현선(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안윤정(2016).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중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Hernandez, L. P. (1993). The role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school resilience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CA: Stanford University.

 

 

 

사회적지지 척도 (박현선).png
0.16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