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부부 적응 척도 (DAS: Dyadic Adjustment Scale)

by 플레이보이카티 2024. 7. 6.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부부적응 척도(Dyadic Adjustment Scale)는 부부관계 혹은 그에 준하는 이인 관계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
  • 부부적응 척도(Dyadic Adjustment Scale)는 총 32문항, 4개 하위개념으로 구성

 

    1. 부부간의 일치성 (13문항)

    • 1, 2, 3, 5, 7, 8, 9, 10, 11, 12, 13, 14, 15번 문

 

    2. 부부간의 응집력 (5문항)

    • 24, 25, 26, 27, 28번 문항

 

    3. 부부간의 만족도  (10문항)

    • 16, 17, 18, 19, 20, 21, 22, 23, 31, 32번 문항

 

    4. 애정표현 (4문항)

    • 4, 6, 29, 30번 문항

 

  • 본 척도는 Spanier(1976)가 개발, 최현미(1997)가 번안, 이를 김한나(2011)가 사용
  • 신뢰도(chonbach α) : 0.94 / 타당도 : -

 

적용 대상

  • 부부

 

측정방법

  • 항목마다 상이하게 측정
문항 리커트 점수
1~15번 6점 리커트 0점: 항상 불일치 ~ 5점: 항상 일치
16~22번 6점 리커트 1점: 항상 있는 일이다 ~ 6점: 전혀 없다
23~24번 5점 리커트 1점: 전혀 안 한다 ~ 5점: 매일 한다 혹은 모두 한다
25~28번 5점 리커트 1점: 전혀 안 한다 ~ 5점: 하루에 여러 번
29~30번 2점 리커트 1점: 그렇다, 0점: 그렇지 않다
31번 7점 리커트 0점: 극도로 불행 ~ 6점: 완전하다
32번 6점 리커트 0점 ~ 5점

 

  • 역문항 : 18, 19번 문항

※ 역문항은 하단의 표와 같이 바꾸어 계산

역문항 채점 방식
1점 6점
2점 5점
3점 4점
4점 3점
5점 2점
6점 1점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부부관계가 긍정적이라고 해석

 

참고문헌

  • 김한나(2011). 여성ACOAs(Adult Children of Alcoholics: 알콜중독자 성인자녀)의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과 부모역할에 관한 연구 : 우울 및 부부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최현미(1997). 원가족 척도 연구 :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Spanier, G. B. (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15-28.

 

유사 척도

 

1. 중년여성 대상

  • 송향주(2012). 중년여성의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 향상을 위한 TSL 프로그램 효과 : 뇌생명사회과학적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탈북여성 대상

  • 김희진(2013). 탈북여성의 정신건강과 부부적응을 위한 TSL 가족프로그램 개입 효과 : 의생명사회과학적 관점(biomedicosocial(BMS) perspective)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부적응 척도.png
0.34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