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사 모음

또래 관계 척도 (Friendship Quality Questionnaire)

by 플레이보이카티 2025. 5. 3.
728x90
반응형
SMALL

척도 소개

  • 또래 관계 척도청소년이 스스로 생각하는 친구들과의 관계에 있어 다양한 질적 측면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 또래 관계 척도는 총 10문항,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

 

    1. 동반 (4문항)

    • 1, 2, 4, 6 번 문항

 

    2. 갈등 해결 (3문항)

    • 3, 7, 9 번 문항


    3. 친밀한 교환 (3문항)

    • 5, 8, 10 번 문항

 

  • 본 척도는 Parker & Asher(1993)가 개발, 윤미경(1998)이 수정 및 보완, 향후 전호선(2016)이 사용
  • 신뢰도(chonbach α) : 0.925 / 타당도 : 개념 및 수렴 타당도

 

적용 대상

  • 청소년

 

측정방법

  • 5점 리커트 척도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5점: 매우 그렇다)

 

해석방법

  •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관계가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

 

참고문헌

  • 윤미경(1998). 학교에서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전호선(2016). 개인내적 요인, 가정환경요인, 사회환경요인이 청소년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Parker, J. G. & Asher, S. 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 611-621.

 

 

 

또래 관계 척도.png
0.08MB

반응형
LIST